출토복식

학성 이천기 일가묘 출토복식

본문

dc279b62716d67cea7186868546d18d3_1648778397_2422.jpg
울산광역시 남구 신정동 이휴정에는 국가민속문화재 제37호 '학성 이천기 일가묘 출토복식'(종전명칭 : 이휴정 소장 출토복식) 유물이 소장되어 있다.


이 출토 복식은 후손 이전호의 12대조인 조선 중기 봉직랑을 지낸 이천기(1610~1666)와 그의 부인 홍씨(1605~1672)의 합장묘, 이천기의 셋째 아들인 이지영(1642~1666 무과급제)과 그의 부인 평해황씨(1637~1718)의 합장묘에서 나온 유품이다.


이 유품들은 1969년 여름 신정동 판교(현 학성고등학교 자리)에 학교부지를 조성하면서 묘를 이장할때 출토된 것으로 석고로 관의 둘레를 밀폐시킨 장법을 취하였기 때문에 350년이 지났음에도 복식의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.


'학성 이천기 일가묘 출토복식'은 공다회대 1점, 면포 솜 소모자, 명주 솜 소모자 1종 2점, 난봉 화문단 겹장옷 1점, 면포 솜장옷 1점, 옷감 1점, 명주솜 누비치마 1점, 면포섬버선 1종 2점, 면포 홋치마 1점 등 6종 10점인데 17세기 후기와 18세기 초기에 이르는 양반층의 복식을 고증 할 수 있는 귀중한 민속 자료이다.


2004년 2월 27일부터 29일까지 김지희 문화재 위원 겸 대구카톨릭대학교수, 이은주 안동대학교수, 조선희 한서대학교수 등 3인이 출토복식 소장 장소인 이휴정 현장에서 조사를 벌인 결과 문화재청의 재가를 받아 지정 명칭 및 개별 유물 명칭 수정을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다.

1979년 중요민속자료 제37호 '울산 이휴정 소장 출토복식'을 '학성 이천기 일가묘 출토복식'으로 지정명칭을 변경하였으나 2017년도에 국가민속문화재 제37호로 변경 되었다.


이 유품들은 도난 및 훼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본은 울산박물관에서 보관하고, 단국대학교 석주선 박물관에 의뢰하여 복제본을 제작하여 용연서원 서재인 온고재에 전시하고 있다.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월진장학재단 댓글 0건 조회 2,465회 작성일 22-04-01 11:09